무제 Untitled

무제 Untitled

1945년 8월 15일, 나는 태극기를 한국 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그려내는 캔버스로 사용했을 것입니다. 그 동안 금지되고 억압받았던 문화들을 표현하며, 이 깃발은 친구와 가족과 함께 막걸리를 마실 자유, 한복을 입을 자유, 딱지치기를 할 자유, 봉산탈춤을 공연할 자유, 단청을 그릴 자유,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인으로 살아갈 자유를 상징합니다.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나는 이 모든 것들이 오늘날에도 기념되고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종차별과 분열이 점점 심화되고, 소수자와 그들의 문화가 점점 지워져 가는 이 땅에서 말입니다. 나는 한국 문화의 기쁨을 태극기에 담아내고 싶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문화를 보고, 받아들이고, 함께 누릴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요. 기쁘게 살아가세요. 자유롭게 살아가세요.

-

On August 15th, 1945 l would have used the Taegukgi as a canvas to paint the many facets of Korean culture that had been banned and repressed. This flag would represent the freedom to drink makgeolli with my friends and family, the freedom to wear hanboks, to play games like ddak ji, to perform Bongsan Talchum, to paint dancheong, and most of all, Be Korean. As a Korean American these things need to be celebrated today in a country where racism and division are increasing and minorities and their cultures are being erased. I wanted to compose the joyful aspects of Korean culture onto the flag for them to be seen and embraced by all. Live with joy, live free.

글로벌 한인 아티스트

Artist

Jason Raish(박남호)

Jason Raish(박남호)

Year

2025

2025

제목을 클릭하면 다음 작품으로 이동합니다.

Next Project

Copyright © 2025 TT-SEOUL.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TT-SEOUL

Copyright © 2025 TT-SEOUL.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TT-SEOUL

제목을 클릭하면 다음 작품으로 이동합니다.

Next Project

Copyright © 2025 TT-SEOUL.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TT-SEOUL

Copyright © 2025 TT-SEOUL.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TT-SEOUL

Copyright © 2025 TT-SEOUL.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TT-SEOUL